1. 설정 열기 |
"우측 하단의 설정 버튼" 또는 "좌측 상단 - 파일 - 설정"을 눌러 설정 창을 열어줍니다.
2. 일반 설정 |
일반 설정에선 언어를 한국어로 바꿔줍니다.
3. 방송 설정 |
서비스에서 자신이 송출할 방송 플랫폼 YouTube를 선택해줍니다.
스트림 키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유튜브 스트리밍 페이지에 접속해야 합니다.
4. 스트리밍 페이지 |
유튜브 페이지에 접속한 후 우측 상단의 "실시간 스트리밍 시작" 버튼을 눌러 자신의 스트림 설정 페이지로 접속해줍니다.
5. 스트림 키 가져오기 & 스트리밍 페이지 설명 |
스트림 키를 복사하여 OBS에 붙여 넣어야 방송 송출이 됩니다.
① 스트림 키 | OBS에 붙여넣을 스트림 키 입니다. 복사를 눌러 OBS 스트림 키 부분에 붙여넣어줍니다. 스트림 키가 유출됐거나 방송이 안켜질 경우 재설정을 눌러 새롭게 복사 - 붙여넣기 해줍니다. |
② 스트림 지연 시간 | 스트림 지연 시간은 시청자에게 방송이 송출되는 시간 입니다. 시청자와 실시간으로 소통하기 위해서 매우 짧은 지연 시간을 체크해줍니다. *다양한 이유로 방송에 딜레이를 주고싶다면 "추가설정 - 지연 시간 추가"를 눌러 직접 지연 시간을 줄 수 있습니다. |
③ 방송 정보 수정 | 수정 버튼을 눌러 방송 정보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. 방송 제목과 설명, 공개 상태, 카테고리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|
6. 출력 설정 (NVIDIA NVENC H.264 (new)) |
NVIDIA NVENC H.264 (new) 인코더 설정입니다.
NVIDIA NVENC H.264 (new) 는 그래픽카드를 이용한 인코더로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사용 시 선택할 수 있습니다.
주로 원컴 방송하시는 분들에게 최적의 인코더입니다. (투컴 방송에서도 많이 쓰입니다.)
x264와 비교했을 땐 품질이 다소 떨어질 수 습니다.
투컴 x264 인코더 사용 방송 시 CPU에 과부하(PC렉, 송출 렉 등)가 생기면 NVENC로 바꿔 사용할 수 있습니다.
데이터율 제어 |
CBR |
비트레이트 |
4000 ~ 8000kbps (인터넷과 플랫폼 서버에 따라 달라지는데 최소 4000 최대 8000 사이에서 조정해야 합니다. 처음 할 땐 6000kbps로 시작하고 이후 시청하는데 버퍼링이 심하다는 의견이 나오면 5500 -> 5000 -> 4500 -> 4000 순으로 내려가며 맞는 값을 찾습니다. 반대로 버퍼링이나 렉 없이 쾌적하게 방송이 이루어질 때 화질을 높이고 싶다면 6500 -> 7000 -> 8000 순서로 올리면서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최댓값을 찾아줍니다.) |
키프레임 간격 (초 단위, 0=자동) |
2 |
사전 설정 |
최대 품질 |
Profile |
high |
GPU |
0 |
최대 B-프레임 |
2 |
NVIDIA NVENC H.264 (new) 사전 설정의 경우 최대 품질을 사용했을 때 GPU(그래픽카드)에 과부하가 생기면 낮은 지연시간 및 품질을 선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
7. 출력 설정 (x264) |
x264 인코더 설정입니다.
x264는 CPU를 사용하는 인코더입니다.
원컴 사용 시 웬만해선 추천하지 않는 인코더입니다.
주로 투컴 사용 시 선택하는 것을 추천하며 품질면에서 가장 괜찮은 인코더입니다.
데이터율 제어 |
CBR |
비트레이트 |
4000 ~ 8000kbps (인터넷과 플랫폼 서버에 따라 달라지는데 최소 4000 최대 8000 사이에서 조정해야 합니다. 처음 할 땐 6000kbps로 시작하고 이후 시청하는데 버퍼링이 심하다는 의견이 나오면 5500 -> 5000 -> 4500 -> 4000 순으로 내려가며 맞는 값을 찾습니다. 반대로 버퍼링이나 렉 없이 쾌적하게 방송이 이루어질 때 화질을 높이고 싶다면 6500 -> 7000 -> 8000 순서로 올리면서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최댓값을 찾아줍니다.) |
키프레임 간격 (초 단위, 0=자동) |
2 |
CPU 사용량 (빠를수록 부담 적으나 화질 나쁨) |
veryfast 또는 faster (veryfast 추천) |
Profile |
main |
조정 |
없음 |
x264 설정 (공백으로 구분) |
|
부가 설명으로 x264 인코더의 CPU 사용량 (빠를수록 부담 적으나 화질 나쁨) 선택은 ultrafast를 기준으로 placebo 쪽으로 갈수록 화질은 좋아지지만, CPU에 과부하가 생겨 송출에 버퍼링, 렉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CPU 사용량에 여유가 있다면 medium ~ slow까지 타협할 수 있습니다.
8. 오디오 설정 |
샘플 레이트 |
48 kHz |
데스크탑 오디오 |
기본 장치 or 본인이 듣는 출력(스피커, 헤드셋 등) 장치 (기본 장치가 기본 설정입니다.) |
마이크/보조 오디오 |
본인이 방송에서 사용할 마이크 선택 |
9. 비디오 설정 |
기본 (캔버스) 해상도는 자신의 모니터 해상도입니다.
출력 (조정된) 해상도는 방송에 송출되는 해상도입니다.
두 해상도를 1080p로 맞춰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기본 (캔버스) 해상도 |
1920x1080 (1080p) (불가피하게 720p로 해야 할 경우 1280x720 (720p)) |
출력 (조정된) 해상도 |
1920x1080 (1080p) (불가피하게 720p로 해야 할 경우 1280x720 (720p)) |
축소 필터 |
Bilinear |
공통 FPS 값 |
60 |
부가 설명으로 축소 필터는 Bilinear가 기본 설정입니다.
Lanczos를 선택하면 조금 더 선명한 화질을 보여주는데 CPU 사용량 또한 증가해 사양이 부족하다면 과부하가 생겨 방송 시 렉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10. 고급 설정 |
고급 설정에선 프로세스 우선순위를 높음으로 해줍니다.
11. 채팅창 |
채팅창은 기본으로 사용해도 되지만 "새 창에서 채팅창 열기"를 눌러 채팅창만 따로 보면서 소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
12. 방송 시작 |
이후 필요한 장면과 소스를 추가해주고 우측 하단의 "방송 시작" 버튼을 누르면 방송이 시작됩니다.
'인터넷 방송 TIP > 방송설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트위치 다시보기(VOD) 사운드 제거 설정 ! (3) | 2022.03.19 |
---|---|
[아프리카도우미] 계정 연동 및 살펴보기 ! (0) | 2020.12.31 |
[프릭샷(FreecShot)] 아프리카tv 송출 프로그램 기본 설정하기 ! (0) | 2020.11.19 |
[오비에스(OBS Studio)] 트위치(Twitch) 송출 설정 ! (0) | 2020.11.19 |
[엑스스플릿(Xsplit)] 트위치 송출 설정 ! (0) | 2020.11.15 |